POCU 강의
2. 출력과 상수
차나히
2024. 5. 14. 09:19
Hello World
- 메인함수 ( Entry Point )
- C# 프로그램은 반드시 어떤 함수에서부터 실행되야함.
- 그 어떤 함수가 바로 Main 함수
- exe 파일을 실행하면 해당 함수부터 실행됨
- string[] args
- 메인 함수가 외부로부터 받는 데이터 ( 메서드 인자 )
- 커맨드 라인으로부터 인자를 받음
- cmd 창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, 추가적으로 정보를 넣어 파일을 실행할 수 있는데, 이때 인자를 추가할 수 있음
- 반환형 ( Return Type )
- 모든 함수는 반환형이 존재
- 실제로 값을 반환할 수도 있고, 아무런 값도 반환하지 않을 수 있음.
- Main 함수의 경우 정수형으로 값을 반환하는것이 가능하며, 0을 반환하면 해당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실행되었음을 의미
- Console.WriteLine()
- 컴퓨터에서는 명령 프롬프트가 콘솔
- WriteLine 은 한줄의 글을 쓰다 라는 의미
- 즉, 이 함수는 명령 프롬프트에 한 줄의 글을 쓰는 기능을 가진다는것을 알 수 있음.
- Using System
- using 을 C# 에서는 지시어 라고 함
- using 지시어 다음에는 사용할 라이브러리 이름을 넣는다
- 라이브러리란?
- 함수를 모아놓은것이 라이브러리이며, C# 에서는 namespace 라고 하며, Java 에서는 패키지 라고 함.
-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함수들이 들어있는 네임스페이스를 코드의 맨 위에 using 지시어를 사용해서 컴퓨터에게 알려줘야 함.
- 컴파일 ( Compile )
- 소스코드를 기계 또는 VM 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변경하는 행위
- 컴파일러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컴파일
- 컴파일을 할 때, 오류 또는 경고가 발생할 수 있음. -> 컴파일 언어의 장점
- 컴파일 오류란?
- 작성한 코드가 프로그래밍 언어의 규격에 위반되는 경우
- 오류가 있을 경우, exe 파일이 생성되지 않기때문에 프로그램 실행이 불가능.
- 컴파일 오류는 프로그램 실행 중에 문제를 발견하는 것보다 효율적
- 컴파일 경고란?
- 경고가 있더라도 실행파일은 생성됨. 즉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음.
- 경고는 실제로는 문제가 아닌 경우가 보통이지만, 그렇다고 수정하지 않으면 나중에 진짜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찾기가 굉장히 힘들어질 가능성이 있음. -> 반드시 경고는 없애도록 하자.
- 디버그 ( debug ) 와 릴리즈 ( release ) 빌드
- 디버그 빌드
- 개발자가 개발 중에 사용하는 실행파일
- 최적화는 거의 안된다고 보면된다. 즉 성능이 좋지 못하다
- 릴리즈 빌드
- 실제 사용자에게 배포하는 실행파일
- 디버깅을 위한 정보는 적지만 최적화는 최대로 된다. 즉, 성능이 디버깅 모드보다 엄청 빠르다고 볼 수 있다.
- 구문 ( statement )
- 한줄짜리 코드
- 여러줄로 이루어진 코드 블록
- 범위 ( Scope ) 라고 부름.
- 이 경우 중괄호로 감쌈
- 주석
- 코드와 관련된 내용을 메모할 때 사용
- 컴파일 시에는 무시되는 문장
- 주석을 너무 지나치게 사용하는것은 좋지 않다!
- 주석도 코드와 마찬가지로 계속해서 관리해야하는 것
- 너무 많게 되면 오히려 업데이트를 하지 못하는 주석이 생기며, 또한 다른 프로그래머들이 코드를 볼 때 불편할 수 있음.
- 반드시 꼭 필요한 내용만 주석으로 남겨두도록하는것이 바람직
- 혹시 나중에 필요할것 같은 내용이라면 깃 과 같은 버전 관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자
- 상수 ( Constant )
- 상수란 ?
- 절대 변하지 않는 값
- 숫자 뿐 아니라 문자까지 포함.
- 상수의 별칭 - 매직 넘버
- 마치 마법처럼 뭔지 전혀 알 수 없기 때문
- 상수를 많이 쓰는 것은 별로 좋지 않음..
'POCU 강의' Related Articles